넷플릭스 바로가기 만들기
넷플릭스를 자주 이용하시는 분이라면 매번 브라우저를 열고 주소를 입력하기보다는 한 번의 클릭으로 바로 접속하는 것이 훨씬 편리하죠. 스마트폰, 컴퓨터, 태블릿 등 사용하는 기기마다 바로가기를 만들어두면 더 빠르고 간편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기기에 따라 넷플릭스 바로가기 만드는 방법을 단계별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
1. 넷플릭스 바로가기
넷플릭스를 즐기는 이용자라면 바로가기를 만들어두는 것만으로도 훨씬 효율적인 시청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. 주소를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한 번의 클릭으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.
즐겨찾기보다 빠르고, 바탕화면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. 스마트폰 홈 화면에 아이콘을 추가하면 앱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여러 기기에서 넷플릭스를 이용하는 분들에게는 매우 유용한 설정이에요.
2. 컴퓨터(PC)에서 넷플릭스 바로가기 만들기
PC에서는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간단합니다.
- 크롬을 열고 넷플릭스 홈페이지(www.netflix.com)에 접속합니다.
- 로그인 후 메인 화면이 표시되면, 오른쪽 상단의 점 세 개 아이콘(메뉴)을 클릭하세요.
- 메뉴에서 "도구 더보기’ → ‘바로가기 만들기’를 선택합니다.
- 이름을 ‘넷플릭스’로 지정한 후 ‘창으로 열기’를 체크하고 만들기를 누르세요.
- 이제 바탕화면에 넷플릭스 아이콘이 생기며, 더블 클릭 시 앱처럼 실행됩니다.
3. 윈도우 작업표시줄이나 시작 메뉴에 고정하기
좀 더 빠른 접근을 원한다면 작업표시줄이나 시작 메뉴에 고정할 수도 있습니다.
- 방금 만든 바로가기 아이콘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릅니다.
- 메뉴에서 ‘작업표시줄에 고정’ 또는 ‘시작 메뉴에 고정’을 선택하세요.
- 이제 언제든 클릭 한 번으로 넷플릭스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.
- 이 방법은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가 넷플릭스를 컴퓨터 프로그램처럼 이용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.
4. 스마트폰(안드로이드)에서 바로가기 추가하기
스마트폰에서는 별도의 앱 설치 없이도 홈 화면에 바로가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.
- 크롬 앱을 실행하고 www.netflix.com으로 접속합니다.
- 로그인 후, 화면 오른쪽 상단의 점 세 개 메뉴를 누릅니다.
- ‘홈 화면에 추가’를 선택합니다.
- 이름을 입력하고 추가를 누르면 홈 화면에 넷플릭스 아이콘이 생성됩니다.
- 이제 넷플릭스 앱처럼 아이콘을 눌러 바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.
5. 아이폰(iOS)에서 바로가기 추가하기
아이폰 사용자도 사파리 브라우저를 이용하면 손쉽게 바로가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.
- 사파리를 열고 www.netflix.com에 접속하세요.
- 로그인 후 하단의 공유 버튼(네모 안에 화살표 모양)을 누릅니다.
- 아래로 스크롤하면 ‘홈 화면에 추가’ 메뉴가 보입니다.
- 이름을 ‘넷플릭스’로 입력한 후 추가를 누르세요.
- 이제 아이폰 홈 화면에 넷플릭스 아이콘이 생기며, 앱처럼 실행됩니다.
6. 자주 묻는 질문 Q&A
Q. 바로가기를 만들면 넷플릭스 앱과 다른가요?
A. 기능은 거의 동일합니다. 다만 앱은 다운로드가 필요하지만, 바로가기는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합니다.
Q. 크롬 대신 다른 브라우저에서도 만들 수 있나요?
A. 네, 엣지, 사파리, 오페라 등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도 가능합니다. 메뉴 이름이 다를 수 있으니 ‘홈 화면 추가’ 기능을 찾아보세요.
Q. 바로가기를 삭제하려면 어떻게 하나요?
A. 바탕화면이나 홈 화면에서 아이콘을 길게 누른 뒤 삭제하거나 휴지통으로 이동하면 됩니다.
Q. 여러 계정을 사용하는데, 바로가기마다 계정을 지정할 수 있나요?
A. 한 계정에 로그인되어 있다면 동일한 계정으로 자동 연결됩니다. 계정을 바꾸려면 로그아웃 후 다시 로그인하면 됩니다.
Q. 스마트폰에서 바로가기를 만들면 앱보다 느리지 않나요?
A. 속도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. 다만 앱은 오프라인 다운로드 기능을 지원하지만 바로가기는 웹 기반이라 해당 기능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.
넷플릭스 바로가기를 만들어두면 로그인부터 실행까지 훨씬 간편해집니다. PC, 스마트폰, 태블릿 등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기기에 맞춰 설정해두면 매번 검색할 필요 없이 한 번의 터치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. 특히 가족 구성원이 함께 사용할 때는 각자 기기에 바로가기를 만들어 두면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.